

ƾ
ٱ ؽ
우리가 잘 아는 바와 같이 세상에는 많은 종류의 학
문이 존재합니다. 그중에서 특별히 이성적인 추론과 보
편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통해 세상과 자연의 이치를
따지고 탐구하는 학문을 우리는 특별히 과학
(science)
이
라고 부르면서 그 학문적 가치를 높이 인정하고 있습니
다. 특히, 자연을 그 대상으로 탐구하는 자연과학은 오
늘날에 들어서 우리 삶에 더욱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
있는 중이죠.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
문제는 자연과학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사건
이라할수있습니다.
하지만 과학의 이성적 추론 방식은 눈에 보이지 않
고 관찰 불가능한 여러 가지 것들, 특히 신과 여러 영적
실체들
(천사, 영혼 등)
의 존재 및 신앙의 전통적 가르침들
에 대해 의문을 제시하면서 점차 신앙과 멀어지는 양상
을보여오고있는것이현실입니다.
이러한 현재의 상황 하에서 이제 다음의 질문이 올
라오게 됩니다;
과학은 과연 이 세상의 모든 사실들을
언젠가 때가 되면 정확히 다 설명해 줄 수 있을까요?
그리고 현대와 같은 과학 시대, 특히 소위 “4차 산업 혁
명 시대” 혹은 “AI 시대”라고 부르는 바로 이 시대에 과
연우리의신앙은의미가있는것일까요?
‘언젠가 시간이 지나면 과학이 이 세상의 모든 것
들을 다 설명해 줄 수 있다’는 것도 실은 인간의 신념
에 해당합니다. 이러한 신념을 우리는 ‘과학
(만능)
주의’
(scientism)
라고 부릅니다. 그렇다면 과학은 정말로 이 세
상의 모든 질문들에 답을 해 주고 있을까요? 만일 그렇
게 된다면 종교, 신앙의 영역조차도 과학에 그 자리를
넘겨주어야할지도모르겠습니다.
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은 소위 과학만
능주의가 주는 심각한 폐해의 영향 하에 있습니다. 우
리나라 역시 이러한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
현실입니다. 오늘날 가톨릭교회를 포함한 우리나라의
주요 종교들의 일선 현장에서 젊은이들이 거의 눈에 보
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? 많은 분들이 본당의 사
목 활동, 특히 주일학교의 운영 방식을 거론하지만, 제
가 보기에는 학교와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익힌 과학만
능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젊은이들이 더 이상 종교, 신
앙을 필요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으로 보입니다. 그만
큼 무신론적이고 유물론적인 과학만능주의가 우리 세
상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을 우리는
결코간과해서는안될것입니다.
우리는 과학에 대해 필요한 만큼 많이, 자세히 알 필
요가 있습니다. 하지만 과학만능주의라는 신념까지 무
차별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됩니다. 제가 이제부터 일
년간 쓰게 될 글은 바로 과학만능주의를 걷어낸 과학의
내용을 통해 우리의 신앙을 바로 세우는 것을 그 목적
으로할것입니다.
과학만능주의
시대와
우리의신앙
김도현
바오로신부
|
예수회, 서강대학교교수
과
학칼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