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ࢮਊભ߽
편견과 차별없는 세상을 위하여
형제자매여러분!
부활하신 예수님의 은총과 평화가 여러분 모두에게 가득
하시길빕니다.
매년 4월 20일은정부가정한 ‘장애인의날’입니다. 1981
년부터 이날이 시작되어 올해로 40회째를 맞이했습니다.
그동안서울대교구는장애인의날에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
안에서기념행사
( 자리축제)
를개최하곤했습니다. 그러나올
해는 안타깝게도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모든 행사가 취소
되었습니다. 모두가 전염병으로 힘든 이 고통의 시기가 늘
고통받아왔고 고통에 고통이 가중되는 장애인을 다시 한번
돌아볼수있는은총의시기가되기를희망합니다.
우리나라가 40년째 장애인의 날을 기념하고 있지만, 여
전히 개선되지 못한 문제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입니
다. 장애인을 동정이나 시혜의 대상으로 여기는 편견을 버
려야 합니다. 그러한 편견은 장애인을 불편한 대상으로 느
끼게 만들고, 그들이 내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머무르기만
을 바라게 합니다. 2018년 평창에서 장애인 동계 올림픽이
열리기 불과 몇 달 전,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에 반대하는 주
민들앞에서무릎을꿇고눈물로호소하던장애학생부모님
들의 모습이 지금도 기억에 뚜렷합니다. 우리 사회가 여전
히 장애인을 ‘함께 어울려 살아가야 할’ 동료, 형제, 이웃으
로 받아들이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드러내 준 사건이었습
니다. 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는
당연한 혜택에서 제외되어서는 안 됩니다. 그것은 차별입니
다. 그런데 장애인에 대한 편견은 쉽게 차별로 이어집니다.
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가 늘어나고, 길거리에 점자블록
이 깔리고, 신호등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서비스가 설
치되어 있지만, 정작 그것을 이용하는 장애인을 보기는 쉽
지 않습니다. 공공의 생활영역에서 자신의 역량에 따라 비
장애인과 어울려 노동하는 장애인들을 보기도 쉽지 않습니
다. 서구 선진국의 장애인에 대한 성숙한 시민 의식과 실천
을따라가려면우리가더많이노력을기울여야합니다.
그렇다면 그리스도의 모범에 따라 사회에 모범을 제시해
야 할 교회의 모습은 어떨까요? 성당에서도 장애인에 대한
편견과 차별이 사회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 오히려 사회
보다 더 못한 측면도 있습니다.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은
총 258만여 명입니다
(2018년 통계청 자료)
. 그리고 2018년 12
월 말 기준 서울시의 등록 장애인 수는 39만 2천여 명
(서울
시 전체인구의 4.0%)
입니다. 그렇다면 서울대교구의 모든 본당
마다도 평균 4%의 장애인 신자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
다. 신자가 2,000명인 본당이라면 적어도 80명의 장애인이
있다는 뜻입니다. 적지 않은 인원입니다. 하지만 실제로 본
당에서 그 정도로 많은 장애인이 미사에 오는 모습을 찾아
보기 어렵습니다. 장애인이 성당에 나오기 어려운 여건 때
문이아닐까요?
제40회장애인의날기념담화문